본문 바로가기

주식

미국 리츠주 MFA, PMT

금융소득으로 미국 주식의 배당소득을 빼놓을 수 없다. 

모기지 주식 (출처 : Total Mortgage)

모기지 리츠주의 배당 매력

DJ Mortgage REITs 지수 (출처 : 인베스팅 닷컴)

코로나 19로 인해 미국의 모기지 시장의 충격이 아직도 회복되지 않고 있다. 현재 미국 모기지 지수를 보면 YTD 기준으로 -33%로 시장이 형성되어있다. 

 

개별 리츠주 중 소형캡은 YTD 기준 -60~50%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으니 주가가 상당히 내려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가 배당률 역시 상당한 편이다. 

 

회사의 자산 및 재정 건전성을 재고하여 종목을 선택하되, 배당을 재개할 수 있고, 주가를 회복할 수 있을 여력이 있는 리츠주에 관심을 두면 고배당(투입된 시가배당 기준)의 금융소득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FA (MFA Financial Inc)

MFA 챠트 (출처 : 인베스팅 닷컴)

3월 코로나 19 쇼크로 모기지 시장의 침체와 MFA의 타격은 회사의 운용에 심각한 타격을 미쳤다. 마진콜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주가는 0.8$~2.3$ 구간의 긴 침체기를 겪었다. 현재는 투융자를 적극 유치하여 재산의 소각을 최소화하여 회사를 정상화하고 있으며 배당을 재개 중이다. 현재 시가배당은 7.07%, 북밸류는 약 4.3~4.6$로 공시자료를 확인해보자.

 

MFA 홈페이지 경영공시 보고서를 참고하도록 하자. 

http://www.mfafinancial.com/

 

MFA Financial, Inc. - Corporate Profile

$ 2.85

www.mfafinancial.com

 

PMT (PennyMac Mortgage Investment Trust)

PMT 챠트 (출처 : 인베스팅 닷컴)

전통적인 모기지 회사인 PMT 역시 3월 급락 이후 서서히 주가를 회복하여 현재는 YTD 기준 -16.77%로 거래되고 있다. 대부분의 주가를 회복한 모습으로 코로나 이후에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 모습으로 제가격을 찾아갔다. 안정적인 배당 수익으로 현재 시가 배당액은 8.98%이다.

 

미국의 초저금리가 주택시장에 끼치는 영향

현재 미국 경제상황은 엉망이지만, 초저금리의 경기부양 의지를 통해서 모기지 시장은 때아닌 활황이다. 

경기동향 발표에 의하면 미국의 모기지 구매 지수는 계속해서 예측보다 결과가 높게 나오고 있다. 

 

또한 다음 기사를 인용하자면 

https://www.mba.org/2020-press-releases/august/july-new-home-purchase-mortgage-applications-increased-39-percent-year-over-year

 

July New Home Purchase Mortgage Applications Increased 39 Percent Year over Year |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WASHINGTON, D.C. (August 13, 2020) - The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MBA) Builder Application Survey (BAS) data for July 2020 shows mortgage applications for new home purchases increased 39 percent compared from a year ago. Compared to June 2020, applic

www.mba.org

The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MBA) Builder Application Survey (BAS) data for July 2020 shows mortgage applications for new home purchases increased 39 percent compared from a year ago. Compared to June 2020, applications increased by 1 percent. This change does not include any adjustment for typical seasonal patterns.

YoY 기준 + 39% 증가, 6월 보다 +1 % 증가 

미국은 보통 4월을 최고점으로 점점 모기지 구매가 감소하는데 현재는 이를 압도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는 것은 여러 모기지 리츠 회사들의 수익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으로 4분기 실적이 나쁘지 않게 나올 확률이 크다. 그러나 렌트비 연체 납에 대해 미국의 경기부양책이 어떤 구제방안을 내놓을지도 리스크를 확인해야 하겠다. 

 

국내 투자환경 축소로 미국 마켓으로 기회를 잡는다면 배당과 성장(과대낙폭으로 인한 주가 회복)을 동시에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과대 낙폭 된 리츠주들은 재무건전성이 취약하므로 우량의 리츠주부터 공부해보며 배당소득을 알아가는 재미를 붙이는 게 가장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방향성 고찰  (0) 2020.07.13
미국 다우지수 폭락  (0) 2020.06.14
미국 ETF SPHD VS SPYD  (0) 2020.05.12
미국 펀드종류 INDEX, ETF 알아보기  (0) 2020.04.27
미국주식 배당락일 및 배당용어 알아보기  (0) 2020.04.26